강아지 목욕시키는 법 및 목욕 주기
반려견과 함께 생활하기 위해서 꼭 해야 하는 것, 바로 목욕인데요. 목욕을 싫어하는 반려견이 많아 반려견 목욕은 많이들 힘들어하시는 것 중 하나입니다. 그렇다면 반려견 목욕은 왜 해야 하는지, 주기는 어떻게 되며 목욕시키는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강아지 목욕 꼭 해야 하나요?
요즘에는 주로 집 안에서 강아지를 키우죠. 때문에 강아지의 청결에 신경을 많이 쓰게 됩니다. 매일 산책을 나가게 되면 산책 중 이물질을 묻혀와 털이 더러워지고 악취가 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요. 때문에 주기적으로 목욕을 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강아지는 사람보다 피부가 예민해 잦은 목욕은 오히려 좋지 않습니다.
목욕 주기는 어떻게 되나요?
강아지의 목욕 주기는 종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한 달에 1~2번이 적당합니다. 때문에 매일 산책 후에는 반려견용 물티슈나 물로 발을 간단하게 닦아주고 건조해주어야 합니다. 산책 시 여기저기 냄새를 맡으며 얼굴 주변이 더러워질 수 있으니 얼굴 주위도 가볍게 닦아주세요. 또한 눈에 보이는 털에 묻은 이물질들도 제거해 주세요. 강아지는 최소 생후 3개월 이후부터 목욕을 시켜주는 것이 좋은데요, 보통 예방접종 전후 일주일은 목욕을 시키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으니 첫 목욕 시기는 이를 기준으로 해야 합니다. 새끼 강아지일 때부터 목욕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 훈련해야 하죠.
목욕 방법
1. 목욕 전 빗질을 해주세요. 목욕 전/후로 빗질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목욕 전에 하는 이유는 엉킨털을 정리하고 이물질이나 노폐물을 먼저 제거하기 위해서입니다. 평소에 빗질을 하지 않으면 털이 엉키게 되어 강아지가 아파할 수 있으니 빗질은 목욕 전/후에만 하는 것이 아닌 꾸준히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2. 샤워기의 수압이 너무 강하지는 않은 지 체크해 주세요. 너무 수압이 센 샤워기는 압력뿐만 아니라 큰 소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강아지에게 두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3. 미지근한 온도의 물로 목욕시켜 주세요. 강아지는 사람에 비해 피부가 예민한 편입니다. 너무 뜨거운 물은 피부를 건조하게 하고 너무 차가운 물은 기름기가 빠지지 않는데요. 강아지의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물을 뿌리기 전에 미리 온도를 체크해 주세요. 이때 눈과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귀에 물이 들어가게 되면 중이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목 뒤쪽부터 천천히 털을 적셔줍니다.
4. 반려견 전용 샴푸를 이용해 주세요. 사람이 쓰는 샴푸로 목욕을 시키게 되면 강아지의 털이 건조해질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강아지의 피부는 사람보다 예민하기 때문에 샴푸를 잘못 사용하게 되면 피부병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자신의 반려견의 피부 타입에 맞는 반려견용 샴푸를 꼭 사용해 주세요. 비누 거품을 내어 얼굴 제외 몸 전체를 마사지하듯 샴푸 해주세요. 이때 강아지의 털이 길다면 털이 엉킬 수 있으니 털이 자란 방향대로 샴푸 해주세요. 얼굴은 따로 젖은 수건으로 닦아주세요. 샴푸를 마친 뒤 제대로 헹궈내지 않으면 피부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니 꼼꼼히 씻겨주세요.
5. 털을 완전히 건조시켜주세요. 목욕 후 털을 제대로 말리지 않는다면 습진 또는 피부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흡수가 잘 되는 목욕 수건을 이용해 1차적으로 털의 물기를 제거해 주시고, 드라이기 혹은 강아지 전용 드라이룸 등으로 털을 완전하게 건조시켜 주세요. 만약 드라이기를 사용해 털을 말린다면 온도가 너무 뜨겁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이때 중간중간 빗질을 하며 말려주시면 털 엉킴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6. 간식으로 보상해 주세요. 목욕은 반려견에게도 힘든 일 중 하나입니다. 반려견이 목욕에 대해 긍정적인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칭찬과 함께 간식을 꼭 챙겨주세요.
'강아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한테 뼈를 줘도 되나요? / 반려견 족발, 갈비탕, 감자탕 뼈 급여 가능 여부 (0) | 2023.02.24 |
---|---|
반려견 배변 훈련시키는 법 / 강아지가 똥을 아무데나 싸요 (0) | 2023.02.23 |
강아지 양치 꼭 해야 하나요? / 반려견 양치하는 법, 치석껌 예방 (0) | 2023.02.21 |
강아지 첫 산책 언제부터 가능한가요? / 사회화 시기와 면역력, 어떤 것이 더 중요할까 (0) | 2023.02.20 |
강아지가 마카다미아를 먹어도 될까? (0) | 2023.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