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가 토를 해요 / 반려견 구토 이유 및 대처 방법
아까까지만 해도 잘 있던 우리 강아지가 갑자기 구토를 할 때가 있습니다. 어디가 아픈 건 지 걱정이 많이 되실 텐데요. 토사물의 색과 횟수 등에 따라 원인이 달라질 수 있어 정확하게 체크해야 합니다. 이제 강아지가 토를 하는 이유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강아지가 토하는 이유
강아지가 갑자기 토를 하는 이유는 다양한데요. 어떤 원인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공복으로 인한 구토: 강아지의 공복이 길어지면 속이 쓰려 구토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음식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액체 상태로 노란색 빛을 띠거나 거품 토를 합니다. 공복토의 경우 자연스러운 현상이니 당장은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반복되면 위염이나 식도염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려견의 공복시간이 12시간 이상으로 너무 길진 않은지 체크해 주시고 적정한 시간을 유지해 주세요.
2. 밥을 너무 급하게 먹거나 높이가 너무 낮은 식기를 이용해 밥을 먹었을 때: 반려견이 밥을 너무 급하게 먹다 보면 목에 걸려 먹은 것을 그대로 토해낼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급하게 먹지 않도록 적절한 교육이 필요하며 천천히 먹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식기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식기의 높이가 너무 낮아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하니 반려견의 가슴 높이에 맞춰 편안하게 먹을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해 주세요.
3. 소화불량: 밥을 먹고 나서 너무 격한 운동을 바로 하게 되었을 때 체하게 되어 토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사료가 거의 소화되지 않아 형태가 거의 그대로 남아있는 사료를 토하게 되는데요. 밥을 먹고 나서 바로 격한 운동을 하는 것은 피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4. 이물질을 섭취한 경우: 강아지가 먹어서는 안 될 것들을 섭취해 토를 하는 경우입니다. 산책하다가 킁킁거리더니 순식간에 무언갈 삼키기도 하고 쓰레기통을 뒤져 섭취하기도 합니다. 상한 음식들이나 뼛조각부터 조각난 장난감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요. 이물질 섭취의 경우 보통 12시간에서 24시간 이내에 구토를 하게 됩니다. 만약 이물질이 장을 막게 되면 장폐색으로 진행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만약 장폐색이 진행되었다면 계속되는 구토와 함께 복부 팽만, 설사, 검은색 대변 등의 증상이 발생하며 응급상황이니 만큼 빠른 치료가 필요합니다.
5. 음식 알레르기로 인한 구토: 강아지들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특정 식품 혹은 첨가물에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만약 반려견이 알레르기가 있는 음식을 섭취했을 경우 일반적으로 가려움증을 느끼는 비율이 크지만 일부 강아지는 구토를 하기도 합니다.
6. 질병으로 인한 구토: 췌장염, 신부전증, 염증성 장 질환, 간 질환, 위장염, 자궁 축농증, 기생충, 파보바이러스 등 다양한 질병의 증상 중 하나가 바로 구토입니다. 때문에 강아지가 토를 한 두 번이 아니고 지속적으로 한다면 질병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으니 동물병원에 내원해 원인 파악 후 적절한 치료를 해주셔야 합니다.
7. 멀미로 인한 구토: 강아지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멀미를 하기도 합니다.
반려견이 구토 이후 정상적으로 활동한다면 큰 원인이 아닐 수 있지만 무기력함과 복부 팽창 및 통증, 설사 등 다른 증상을 동반한다면 질병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빠르게 원인을 파악해 치료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토했을 때 대처법
우선 토사물의 색과 이물질 여부를 가장 먼저 체크해야 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대로 노란색 혹은 거품토의 경우 공복토의 가능성이 높은데요. 여기서 노란토라 하더라도 자주 하게 되면 췌장에 문제가 있는 경우일 수도 있으니 토를 일시적으로 하는지 계속하는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초록색의 구토는 강아지가 산책 시 풀을 섭취했을 경우 흔히 발생하며, 췌장 쪽의 담즙 때문에 초록색토로 보일 수 있습니다. 혈액이 섞여 붉은빛, 갈색 혹은 검은색 빛을 띠는 토사물의 경우 위장의 출혈이나 질병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바로 동물병원으로 가서 정확한 원인 파악과 그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한두 번에 그치고 강아지의 상태가 더 나빠지지 않는다면 집에서 조치를 취하면 되는데요. 먼저 구토를 하고 난 뒤에는 바로 음식을 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최소 6시간에서 8시간 정도 상태를 보다가 신선한 물을 천천히 제공해 주세요. 더 이상 구토를 하지 않는다면 소화하기 쉬운 부드러운 음식을 조금씩 급여해 주시는 것이 좋으며 강아지가 점차 회복하는 것 같으면 일반식으로 바꿔나갑니다.
'강아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항문낭 짜야하나요? (0) | 2023.03.10 |
---|---|
강아지 마운팅 이유와 교정하는 방법 (0) | 2023.03.06 |
강아지가 갑자기 설사를 해요 / 반려견 설사 원인 및 증상, 대처법 (0) | 2023.03.03 |
강아지가 초콜릿을 먹었어요 / 반려견 초콜릿 섭취 시 대처 방법 (0) | 2023.03.02 |
강아지가 입을 덜덜 떨어요 / 반려견 턱 떨림 원인 (0) | 2023.03.01 |
댓글